남경필 경기도지사, 따복마을,‘주민 주도, 공공 지원’방식 추진
상태바
남경필 경기도지사, 따복마을,‘주민 주도, 공공 지원’방식 추진
  • 전철규 기자
  • 승인 2014.07.22 0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의 핵심공약 중 하나인 “따복마을” 만들기가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현장 활동가들의 생생한 현장 목소리를 듣는 것으로 첫 발을 내딛었다. 

따복마을은 따뜻하고 복된 마을공동체의 줄임말로, 공동체 해체로 나타난 보육, 교육, 일자리, 노인 등 사회문제를 종합적으로 해결하는 공동체 복원 프로젝트다. 

남 지사는 오늘 대화마당을 통해 “대부분의 참석자들께서 주민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따복마을을 만들 것을 제안했다”라고 밝히고, 앞으로 현장과 전문가 의견을 더 들어 충분한 준비과정을 거쳐 주민 주도형 따복마을을 만들 수 있도록 행정기관이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경기도는 21일 도의원, 현장 활동가, 연구기관 전문가, 마을공동체 마을리더, 마을만들기 사업 지원센터장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굿모닝 경기도, 따복마을 만들기’ 대화마당을 열었다. 

이날 도청 신관 4층에서 열린 대화마당은 윤석인 전 도지사 당선인 혁신위원의 사회로 따복마을 만들기 6개 분야에 대한 분야별 대화 주제를 중심으로 진행됐다. 

분야별 주제는 ①따복마을 정책추진체계, ②사업추진방식, ③지원센터운영, ④현장중심의 지원사업, ⑤외국인 거주 마을만들기 과제, ⑥민간협력 방안 등 분야별로 현장 활동가와 전문가 등이 의견을 개진하는 방식으로 처음부터 끝까지 자유스런 분위기 속에서 대화의 장이 열렸다.

현장 활동가인 조안나 수원 꽃뫼버들마을 공동대표는 따뜻하고 복된 마을은 장기간 인간관계에서 생겨난다고 전제하고, 도지사 임기기간 동안 짧게 추진하는 것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주민이 자발적이고 주도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류홍번 안산 YMCA 사무총장은 따복마을 만들기가 물량이나 인건비 지원에 매몰돼서는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따복마을 성공조건으로 ▶경기도만의 마을만들기 비전 제시 ▶따복마을 발전단계별 지원체계 마련 ▶ 지역특성에 맞는 사업 지원, 규모 등 맞춤형 지원 등을 제언했다. 

따복마을 중간지원 조직인 지원센터에 대한 의견도 제시됐다. 최명희 전북 마을만들기 협력센터장은 마을만들기 사업이 여러 부서에 흩어져 있는데 통합이 어려우면, 이를 총괄할 수 있는 전담부서 설치와 민간을 지원할 수 있는 중간조직 설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밖에도 참석자들은 ▶따복마을 개념과 범위 정의 설정 ▶ 외형적인 성과보다 사람육성 등 사업의 내실화 필요 ▶ 성급한 예산지원으로 인한 기존 마을공동체의 해체 우려 ▶ 획일적인 평가보다 현장여건에 맞는 질적인 지표 요소 반영 등 경기도 따복마을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도 관계자는 오늘 대화마당에서 제기된 의견뿐 아니라, 현장 활동가와 전문가 등의 고견을 들어 외형적인 성과보다는 공동체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따복마을 만들기를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