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유색쌀과 유전자 구조 분석 이유 밝혀내
상태바
농진청,유색쌀과 유전자 구조 분석 이유 밝혀내
  • 전철규 기자
  • 승인 2013.09.12 14: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농촌진흥청이 유색쌀과 유전자 구조를 분석해 이유를 밝혀냈다.

우리가 즐겨 먹는 쌀은 어떻게 흰색이 됐을까? 농촌진흥청의 최근 연구 결과는 이런 의문점에 답을 제시하고 있다.

농진청은 검정쌀과 붉은쌀, 일반쌀 등 국내외 다양한 벼 품종을 수집해 천연색소인 안토시아닌 계열 물질의 생성에 관여하는 핵심 유전자를 분석, 그 결과를 12일 발표했다.

연구 결과 안토시아닌 합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모든 벼들이 지니고 있지만 흰색인 일반쌀은 유색쌀에 비해 이들 유전자 발현량이 10% 미만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즉 흰색쌀은 돌연변이로 인해 'DFR', 'OSB1', 'Rc' 등 색을 발현시키는 핵심 유전자의 구조적 변이가 초래돼 색이 없는 흰색으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야생 벼를 농업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아무래도 선호도가 높은 흰색 쌀의 재배가 집중되면서 유색쌀의 입지가 좁아져 지금처럼 흰색 쌀이 많이 재배되는 상황에 다다른 것이라고 농진청은 밝혔다.

그러나 최근 천연색소 안토시아닌의 건강 기능성이 각광받으며 농진청은 다음 연구 절차를 밟고 있다.

농진청은 안토시아닌 합성 핵심 유전자 3종의 구조적 변이를 활용해 벼 생육 초기에 종자 색깔을 예측하는 마커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으로 기능성 안토시아닌을 합성하는 벼를 신속하게 육성할 수 있고 동시에 안토시아닌 합성 유전자를 기존 고품질 벼에 도입해 건강 기능성이 뛰어난 맞춤형 쌀 품종 개발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농진청 생물소재공학과 임선형 연구사는 "안토시아닌을 포함해 식물은 항산화, 항암, 항염 등 다양한 건강 기능성 물질을 생성하는데 앞으로 이런 기능성 물질 생성 체제를 밝혀 맞춤형 쌀 개발에 응용할 계획"이라며 "고부가 생물 소재의 발굴과 활용으로 농업은 최첨단 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