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타임스] 최근 3년간 폭염특보의 발동이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영진 의원(더불어민주당, 수원병)이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4~2016년 폭염특보 발동현황’에 따르면, 2014년에 비해 2016년에 3배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특보는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를 합친 것으로, 폭염주의보는 일 최고기온이 33℃ 이상, 폭염특보는 35℃ 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동된다.
폭염특보 발동이 급증하는 만큼,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 역시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2014~2016년 온열질환자 발생현황’에 따르면, 2014년에 온열질환으로 사망한 사람은 1명에 불과했으나 2016년에는 17명으로 급증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5건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경남이 4건, 전남과 전북이 3건순이었다. 시기별로는 전체 온열질환자 수는 8월이 가장 많았으나, 사망자 수는 7월이 가장 많았다.
[별첨 1. 2014~2016년 온열질환자 발생현황]
해가 지날수록 폭염이 심해지고 있는데,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의 ‘한반도 미래 폭염 피해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2040년대에 최대 250명까지 사망자가 증가할 것으로 예측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한반도 미래 폭염 피해 시뮬레이션 결과’ 자료에 따르면, 온열질환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2040년대(2041~2050년)에는 최대 250명까지 증가해, 2000년대(2001~2010) 대비 최대 7배까지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상청 기후변화시나리오 자료의 폭염연속일수 예측값과 통계청 장래인구 추계자료의 고령화율 전망에 기반하여 미래 온열질환 사망자 수를 모의한 결과이다.
하지만, 폭염특보 발동 횟수도 급증하고 있고, 온열질환 발생자와 사망자가 급증하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오히려 국민안전처의 폭염 피해에 대한 인식과 대책은 2016년에 비해 2017년에 후퇴한 것으로 드러났다.
‘2016년 폭염대응 종합대책’에는 최근 5년간 4,239명의 온열질환 발생자 중 47명이 사망했다고 집계하였으나, ‘2017년 범정부 폭염대책 추진방안’에서는 평균치를 사용해 인명피해 현황을 대폭 축소하여 집계했다. 2017년에 집계한 인명피해 현황은 최근 6년간 평균 온열질환자로 1,059명이었고, 사망자 수 역시 평균치인 11명이었다.
구체적인 폭염대책 역시 후퇴했다. 2016년에는 각 부처별로 추진 방안을 세분화하고, 일일 폭염환자(온열질환) 발생보고 체계를 각 의료기관에서 보건복지부를 통해 국민안전처로 일원화하는 것으로 마련했다. 하지만, 2017년에는 각 부처별 구체적인 추진 방안과, 국민안전처로 발생보고 체계를 일원화하는 것 역시 누락되었다.
[별첨 2. 2016~2017 폭염 종합대책]
김영진 의원은 “점점 고령인구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폭염 일수가 해마다 증가하고 있어, 제대로 된 정부의 폭염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2017년 국민안전처의 폭염대책이 후퇴한 것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되기 전, 폭염대책에 대한 점검과 대책 수립에 만전을 기해 국민의 건강과 안전을 지켜주길 기대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