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중부권 일자리정책협의회 개최
상태바
경기도,중부권 일자리정책협의회 개최
  • 전철규 기자
  • 승인 2013.09.25 15: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는 25일 오후 2시 성남 판교테크노밸리지원단(글로벌 R&D센터내)에서 고용노동부 소속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고용센터, 안양고용센터, 경기중부 11개 시·군의 일자리담당 국장, 상공회의소, 한국지역경제학회, 기업체 대표 등이 함께한 가운데 중부권 일자리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지난 달 28일 평택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남부권 일자리정책협의회에 이어 두 번째로 열린 것으로 경기도는 미스매치로 인한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결을 위해 고용노동부와 시·군, 일자리관련 기관, 기업체와 권역별 협의체를 구성한 바 있다.

신낭현 경기도 경제기획관은 “경기도를 4개 권역으로 나누어 일자리정책협의회를 갖는 것은 타 시도보다 높은 중소기업 일자리 미스매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련 기관들이 함께 지역여건에 부합하는 해결과제를 도출하는데 큰 의미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성남, 하남, 이천, 광주, 양평, 여주, 광명, 안양, 과천, 의왕, 군포시 등 중부권 11개 시․군을 대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듣는데 집중됐다.

먼저 발표에 나선 중부지방고용노동청 성남고용센터는 IT분야의 ‘실리콘벨리’로 부상중인 판교테크노밸리 등 성남지역 IT/게임산업의 원활한 인력육성·지원을 위해 유관기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일자리컨설팅, 실전·창의인재 양성사업(NSC), 기업-특성화고 연계 맞춤형 인력양성을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안양고용센터는 안양권역 지식산업센터 맞춤형 인력지원 등 통합서비스 프로젝트 등으로 지역·업종별 구조적 문제해결 및 지역일자리 정책의 허브역할 강화를 위해 지역 우수 강소기업 선정·홍보를 통한 이미지 개선, 현장고용센터 운영, 기업맞춤형 인력양성 지원, 유관기관 네트워킹 강화 등을 제시했다.

경기일자리센터는 시·군 일자리센터 직업상담사 증원배치(52개소, 60명)로 주민센터 등 다중집합지역에 분산 배치하여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기여했다고 발표했다.

시·군별 토론에서 일자리 미스매치의 주요 요인으로는 ①급여수준이 낮아서, ②작업환경이 나빠서, ③고용이 불안정해서, ④장시간 근로가 많아서, ⑤출퇴근이 불편해서 순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방안으로는 대졸자 공급 조절에서 고졸자 수요 유도로 전환, 임금보조보다는 비전을 주는 강소기업 확대 정책으로 전환, 중소기업 산학협력의 내실화 및 근로환경 개선, 주거 및 교통여건 개선으로 출퇴근 장벽 제거 등이 제시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